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
현충일 노래, 한 번쯤은 기억하고 넘어갑시다 5월도 마지막 주, 가정의 달이자 계절의 여왕, 봄맞이를 하는 화려한 한 달도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6월도 맑고 밝은 나날에 해가 긴 시기지만, 6월은 호국 보훈의 달이라고도 하죠.6.25가 있던 달이고, 현충일이 있습니다.질곡의 현대사를 겪으며 지금의 선진국 대한민국을 있게 한 순국 선열들을 기리며 적어봅니다. 1. 현충일 현충일(顯忠日)은 6.25 전쟁 당시 국가를 위해 싸우다 전사한 장병과 순국선열, 그리고 순직 공무원들의 넋을 기리고 그들의 얼을 위로하기 위해 제정된 대한민국의 중요한 기념일이자 법정 공휴일입니다. 휴전 이후, 육군, 공군, 해군이 각각 전몰 장병 추도식을 거행하던 것을 1956년 동작동 국군묘지를 새로 단장하면서정부 주최로 전몰 장병 추도식을 거행하기로 국무회의에서 의결하였고,6..
사이시옷 표기법, 제대로 알고 맞춤법에 맞게 쓰자 일상 생활에서 많이 혼동되는 맞춤법 규정에 대해 알아보는 포스팅을 시리즈로 올립니다. 오늘은 사이시옷 표기법입니다. 채소값인지 채솟값인지, 북어국인지 북엇국이니 혼동되시죠? 오늘 포스팅으로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사이시옷 현상의 정의 2. 사이시옷 표기법 정착의 역사 3. 사이시옷 문법 규정 4. 용례; 자주 틀리는 예 1. 사이시옷 표기, 사잇소리 현상의 정의 사이시옷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두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성명사를 구성할 때,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잇소리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음운의 변동을 나타내며, 사이시옷 표기는 이 지점의 변화 중 일부만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예로, 한자와 한자의 조합에서 '대가(代價)'란 단어는 [대까]로 발음됩니다. 이처럼 사잇소리 현상이 발생하지만..
라후어 사기극; 그릇된 국수주의의 해악 2004년 5월 8일, 스펀지 방송에서 라후족이라는 동남아시아 소수민족이 한국어와 비슷한 언어를 쓰며 우리와 비슷한 풍속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의 친척과도 같은 종족이라는 방송이 나온 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구려 유민 이정기의 일대기를 다룬 역사소설 '고구려를 위하여'를 통해 이들이 고구려의 후예라는 가설이 마치 주류의 정설인 것처럼 넷상에 떠돈 적이 있었는데, 여러 가지로 무리가 많은 주장입니다. 고구려, 만주벌판과 같이 우리의 가슴을 뛰게 하는 상징에 눈이 멀어 유사사학에 호도되지는 말아야겠습니다. 1. 라후족 2. 라후어의 특징 3. 한국어와의 친연성 4. 라후어에 대한 한글 수출 사기극 전통복장 차림의 라후인 남녀. 1. 라후족 라후족은 중국 윈난성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
에스페란토어: 세계 만국 공통어를 꿈꾸며 에스페란토어는 국제 언어로서 사용되고 있는 인공 언어입니다. 이 언어는 국경을 넘어 의사소통과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단순하고 규칙적인 문법과 어휘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에스페란토어의 역사적 배경, 만든 사람, 문법적 특징, 사용하는 지역과 종족, 예시, 장단점, 역사적 의미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에서 발간된 에스페란토어 입문서. 1. 역사적 배경 에스페란토어는 폴란드 출신의 의사인 루도비코 자메스 호세프 세베로 줄리안 도프라츠키에 의해 19세기 말에 개발되었습니다. 도프라츠키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에서의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 언어를 고안하게 되었습니다. 루도비코 도프라츠키는 에스페란토어를 개발한 주요 인물로서, 1887년에 처음으로 ..
고구려와 백제는 부여에서 나온 한 뿌리의 가족인가? 부여와의 친연성 지린성 서단산, 동단산 유적지에서 출토된 부여 유물. 오늘은 언어학과는 조금 다른, 그러나 연관된 고대사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1. 고구려와 백제의 부여계승의식과 관계 고구려와 백제가 모두 부여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주장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그 중에는 백제의 개로왕이 472년에 북위에 전달한 국서가 있으며, 《삼국사기》 의 개로왕, 《북위서》 , 그리고 《동문선》에 이를 나타내는 기록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고구려와 백제 모두 부여에서 유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고, 고구려의 추모성왕은 그의 시호를 부여의 시조 동명왕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심지어는 건국신화 역시 동명왕 신화를 빌려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백제는 왕가의 성이 '부여'였으며, 국호를 '남부여'로 변경할 정도로 부여로부터의 계승..
한국어와 몽골어의 친연성 (2) 비교, 차이점 과거 한국어와 몽골어는 모두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분류되었습니다. 알타이어족은 중앙아시아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한국어와 몽골어는 지역 내에서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한국어와 몽골어는 어느 정도의 친연성이 있을까요? 몽골어-한국어 대조성경. 몽골 내 한국어 전파의 일등공신은 선교사들이다. 1. 역사적 배경 1) 한국어 한국어는 한반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어의 기원은 고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러나 고조선 시대 이전의 한국어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는 한글이 창제되어 쓰여지기 시작했습니다. 한글은 현대 한국어의 기반이 되었으며, 한글을 통해 한국어는 자주 발전하고 발전한 문학과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또한 한국어는 역사적으로 중..
한국어와 몽골어의 친연성 (1) 언어 계통적 측면 1. 개요 : 역사적 배경, 언어 계통적 측면 2. 어휘적 유사성 3. 문법적 유사성 4. 기타 : 습득의 난이도 등 한국어와 몽골어의 친연성. 1. 개요 1) 역사적 배경 몽골 제국의 침공으로 인해 몽골어와 한국어 사이에는 서로의 언어에 대한 영향이 발생했습니다. 몽골 제국의 통치하에 있던 고려는 몽골어와의 교류를 통해 몇 가지 어휘와 문법 요소를 흡수하였습니다. 이는 현대 한국어에 일부 흔적을 남기며, 몽골어와의 언어적 유사성을 반영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몽골 제국의 한반도 침공과 몽골과의 교류로 인해 몽골어와 한국어 사이에 문화적인 영향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과 몽골의 전통 의상인 디엘은 유사한 디자인과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음식 문화에서도 유사성이 보입니..
서울 방언의 주요 특징 1. 서울 방언의 특징 설명에 앞서; 들어가며 2. 서울 방언의 주요 특징 1) 억양과 발음 2) 어휘 3) 문장 구조와 어순 4) 호칭어 3. 타 지역 방언과의 비교 4. 결론 서울 방언? 서울도 사투리가 있었나요? 1. 들어가며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역사적으로 중심지로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 방언은 한국어의 여러 다른 방언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서울 방언은 주변 지역의 방언과 비교해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글에서는 그 주요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서울 방언의 주요 특징 1) 억양과 발음 서울 방언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억양과 발음입니다. 서울 사투리는 발음이 상대적으로 더 날카롭고 빠르며, 목소리의 강세와 톤이 뚜렷합니..
북한의 문화어, 어떤 특징이 있는가? 1. 북한의 문화어 개요 2. 북한 문화어의 기본 구조 3. 한국의 다른 지방 방언에서 받은 영향 4. 중국어와 일본어로부터의 영향 5. 평안도 방언과 함경도 방언의 상세 차이점 북한의 문화어 교과서, 우리의 국어책 북한의 표준어, 북한의 서울말을 `문화어`라고 합니다. 지난 시간 서울 방언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오늘은 문화어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북한의 문화어 개요 - 북한의 문화어에 대한 간단한 소개 및 북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언어의 중요성 북한의 문화어란 북한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로서 한반도 북부 지역의 독특한 언어 특성을 담고 있는 말입니다. 분단 이후 남한과 북한에서는 각기 다른 상황과 역사적 배경 하에 언어와 문화가 발전해 왔기 때문에 북한의 문화어는 표준어와는 다소 차이..
중(中), 간(間), 제(第)의 띄어쓰기 규정 1. 중(中) 의 띄어쓰기 우리말에서 띄어쓰기가 상당히 복잡하고 이럼다고 하시는 분들이 꽤 많으십니다. 많은 규칙을 무조권 외우려고만 들면 머리만 복잡해지고 제대로 외워지지도 않지요. 하나하나 이치를 따져 가면서 이해하면 의외로 그리 복잡하게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 중의 하나인 가운데 자의 띄어쓰기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가운데 중(中) 자의 경우, 한 단어로 굳어진 경우가 아니라면 中 자를 띄어쓰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 반 학생 중에서 제일 키가 커요'라든가 꽃 중의 꽃 이라고 할 때는 00 가운데서 가장 어떻다.' 는 뜻으로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때는 학생'과 꽃 뒤에 중(中) 자를 띄어서 씁니다. 그리고 수업 중에는 휴대 전화를 끄세요.' 라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