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어에 남아 있는 성조의 흔적 억양(성조)의 계층적 구조. 1. 한국어의 성조 한국어의 성조는 말소리의 고저를 의미하며, 한국어에서는 두 종류의 성조, 즉 어조와 음조가 존재합니다. 어조(語調) '어조'는 문장이나 문단의 전체적인 말소리의 고저를 조절하며, 한국어에서는 보통 감정 표현이나 의도에 따라 어조가 바뀝니다. 예를 들어, 화가 나거나 긴장을 하면 소리가 높아지고, 반면에 편안하거나 진지할 때는 소리가 낮아집니다. 음조(音調) '음조'는 한 글자나 어절, 즉 단위 어휘의 말소리의 고저를 말합니다. 한국어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음조가 유의미하게 쓰이며, 대표적으로 경상도 사투리에서 '강낭콩'과 '강랑콩'처럼 음절의 고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한편, 한국어의 경우, 중국어나 베트남어처럼 성조가 단어의 의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