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로마자 표기법에 대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적힌 지명 역명판이 남아 있는 도원역 구내.

우리말의 알파벳(로마자) 표기법 규정이 따로 있는 것, 알고 계시나요?

한국어의 모든 규정, 표준어 및 외래어의 모든 것은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즐겨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말의 로마자 표기법은 2000년도에 대대적으로 바뀌었습니다.

그 이전의 로마자 표기법 규정이 바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입니다.

이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1.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의 개요

2. 표기 규정

3. 이후 변화

---------------------------------------------------------------------------------

 

1.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의 개요

매큔-라이샤워(McCune-Reischauer) 표기법은 1939년 미국의 학자 맥 매큔과 에드윈 라이샤워가, 당시 국내 한국어 전문가 최현배, 김선기, 정인섭 세 분의 도움을 받아 학문적 목적으로 개발한 국어 로마자 표기법입니다.

1939년 발표된 이후 8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 해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한글로마자 표기법으로 남아 있습니다.

대부분의 영어로 된 한국학 관련 자료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영어로 된 한국학 자료를 읽으려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한국에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또는 그것의 1984년 남한식 변종)을 오래된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영어권과 프랑스어권, 그리고 로마자를 사용하지 않는 러시아 한국학계에서도

지금까지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만들어진 지 20년이 넘은 현재까지도 변함이 없습니다.

 

게다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따른 표기에서 기호를 빼고 사용하는 방식이

영어 사전에서 영어의 외래어로 등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chaebol (← chaebŏl), hangul (← han'gŭl), kimchi (← kimch'i), taekwondo (← t'aekwŏndo).

 

2. 표기 규정

1) 기본 원칙

철자가 아닌 발음대로 쓰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삼는다.

2) 기본 표기법

ㅔ는 ㅏ나 ㅗ 뒤에 올 때 ë로 적습니다.

초성으로 ㅈ, ㅉ, ㅊ을 가진 ㅑ, ㅒ, ㅕ, ㅖ, ㅛ, ㅠ에서는 y를 생략합니다.

ㅜ, ㅠ, ㅣ 의 장음은 macron(¯)을 사용하여, ㅔ, ㅖ의 장음은 acute(´)로 표현합니다.

ㄱ, ㄷ, ㅂ, ㅈ가 유성음으로 발음될 경우에는 g, d, b, j로 표기합니다.

된소리 발음 앞에 같은 위치에서 조음되는 받침 /ㄱ, ㄷ, ㅂ/이 오면 된소리만 표기합니다.

/ㄱ.ㄲ/은 kk로, /ㄷ.ㄸ/은 tt로, /ㅂ.ㅃ/은 pp로, /ㄷ.ㅆ/은 ss로, /ㄷ.ㅉ/은 tch로 표기합니다.

/ㄷ/과 ㅅ의 연쇄는 /ㄷ.ㅆ/으로, 앞서 설명한 대로 ss로 표기합니다.

ㄹ은 r로 표기하는 경우와 l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r로 표기하는 경우는 모음과 모음 사이와 초성이 ㅎ(h)인 경우 앞에 위치합니다.

l로 표기하는 경우는 초성이 ㅎ(h)를 제외한 자음 앞과 단어의 끝에서 사용됩니다.

-ㄹㄹ- 과 같이 /ㄹㄹ/로 발음되는 -ㄴㄹ-과 -ㄹㄴ-은 ll로 표기합니다.

-ㄴㄱ-은 n'g로 표기하며, ㄱ이 경음화되면 예외적으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ㄷ, ㅌ(ㄾ을 포함)이 구개음화될 때 발음에 따라 표기합니다.

종성 ㄱ, ㄷ, ㅂ 뒤에 초성 ㅎ이 오는 경우 유기음화를 무시하고 kh, th, ph로 적습니다.

그러나 ㄵ, ㄺ, ㄼ, ㅈ 뒤에 ㅎ이 오는 경우에는 nch', lk', lp', ch' 로 표기합니다.

종성에서 ㅎ(ㄶ, ㅀ을 포함)은 발음에 맞게 표기합니다.

유기음이나 무기음으로 발음되면 그대로 표기하고, /ㄴ/으로 발음되면 n으로 표기하며, 발음이 없다면 표기하지 않습니다.

문중 예사소리의 경음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무성음 글자로 표기합니다.

무성음인 받침 /ㄱ, ㅂ/ 뒤에서 발생하는 ㅅ의 경음화는 s로 표기하며, ㄳ과 ㅄ의 ㅅ도 s로 표기합니다.

/ㄷ/ 뒤에서 발생하는 ㅅ의 경음화는 앞서 설명한 대로 /ㄷ/+/ㅆ/의 모습을 ss로 표기합니다.

유성음인 ㄴ, ㅁ, ㅇ, ㄹ 받침 뒤에서 일어나는 ㅅ의 경음화는 ss로 표기합니다.

직후의 예사소리 글자와 함께 된소리를 나타내는 사이시옷을 된소리와 같이 표기합니다(kk, tt, pp, ss, tch).

사이시옷이 철자상으로 표기되지 않으나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 유성음 글자 대신 무성음 글자로만 적습니다.

/ㄴ/ 발음을 나타내는 사이시옷은 발음대로 적습니다.

한 단어 안의 실질 형태소 + 실질 형태소 결합에서 1번 실질 형태소의 마지막 받침 발음이 대표음으로 바뀌는 경우, 그 바뀐 발음을 따라 표기합니다.

3) 인명 표기법

성과 이름 사이에만 공백을 두고 쓰며 (이 표기법이 도입된 당시의 한국어 맞춤법도 그러하였습니다), 나머지 부분은 음절 구분 없이 연결하여 표기합니다.

자음 동화와 같은 음운 변동과 연음 현상은 기본적으로 반영하지만,

성과 이름 사이에서 발생하는 음운 변동은 표기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백낙준'은 Paek Nakchun으로 표기됩니다.

 

3. 이후 변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1984)은 1984년부터 2000년까지 적용되었으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기초로 약간 수정된 형태였습니다.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 또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약간의 변형이 존재합니다.

 

이후에는 2000년에 한국어 로마자 표기의 대한민국 표준 규범이 문화관광제한 방향으로 개정하였고,

이를 2014년 일부 수정하여 현재까지 시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