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라후어 사기극; 그릇된 국수주의의 해악

떠돌이스머프 2023. 12. 18. 22:06

2004년 5월 8일, 스펀지 방송에서 라후족이라는 동남아시아 소수민족이 한국어와 비슷한 언어를 쓰며

우리와 비슷한 풍속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의 친척과도 같은 종족이라는 방송이 나온 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구려 유민 이정기의 일대기를 다룬 역사소설 '고구려를 위하여'를 통해

이들이 고구려의 후예라는 가설이 마치 주류의 정설인 것처럼 넷상에 떠돈 적이 있었는데,

여러 가지로 무리가 많은 주장입니다.

고구려, 만주벌판과 같이 우리의 가슴을 뛰게 하는 상징에 눈이 멀어 유사사학에 호도되지는 말아야겠습니다.

 

1. 라후족

2. 라후어의 특징

3. 한국어와의 친연성

4. 라후어에 대한 한글 수출 사기극

전통복장 차림의 라후인 남녀.

1. 라후족

라후족은 중국 윈난성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입니다.

중국 윈난성에서는 약 49만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푸얼시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란창 라후족 자치현,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린창시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등의 자치 지역이 있습니다.

또한,중국 외에도 미얀마에서 15만 명, 태국에서 10만 명, 라오스와 베트남에서

각각 1만 5천 명과 1만 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라후족은 세부 그룹으로 흑라후족, 적라후족, 황라후족, 백라후족, 라후셸레족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인구는 흑라후족에 속합니다.

라후족은 라후어를 사용하며, 종교로는 기독교, 불교, 애니미즘 등이 있습니다.

 

중국과 미얀마, 태국, 라오스 등에 거주하는 라후족은 자기들이 눈이 내리는 북쪽 지방에서 온 민족이라고 설명하지만,

이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아직 진행 중입니다.

 

2. 라후어의 특징

라후어는 다른 티베트버마어파 언어들처럼 주어-목적어-동사(SOV)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받침이 없는 독특한 특징과 함께 7개의 성조 시스템이 있습니다.

라후어는 한국어족이나 바스크어와 같은 기원을 알 수 없는 고립어가 아닙니다.

그 계통은 이미 오랜 시간 전에 언어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으며, 중국어, 티베트어, 버마어와 같은 한장어족의 언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태국의 라후족은 이미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한 고유의 문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후족의 중국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중국 정부에 의해 제공된 로마자 기반 문자로 쓰여진 텍스트를 갖고 있습니다.

라후족은 이미 고유한 문자로 작성된 성경과 찬송가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문자 문화는 상당히 발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한국어와의 친연성

1) 한국어 유사성 주장 근거

어순이 한국어와 완벽히 일치합니다.

한국어처럼 p(ㅂ, ㅃ,ㅍ) ,t(ㄷ,ㄸ,ㅌ), k(ㄱ,ㄲ,ㅋ)와 같은 파열음의 3중 대립이 존재합니다.

다른 언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ㅓ, ㅐ 발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사를 활용합니다.

주어의 생략이 빈번하고 동사로도 문장이 가능합니다.

동사나 동사구에 부사가 선행됩니다.

수사 다음에 분류어 사용합니다.

형용사를 서술어로 사용합니다.

후설 폐모음과 중간모음에서 평순과 원순의 대립이 발견됩니다.

2) 반박

비록 라후어가 한국어와 문법적인 면에서 공통점을 보여도,

비교언어학에서 언어족을 구분하는 핵심 요소는 같은 기원과 대응하는 음운을 갖는 기본 어휘의 존재입니다.

어순에 관한 자료에서도 볼 수 있듯이, 어순은 시대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가변적 요소이고, 동원사가 없거나 음운 대응이 확인되지 않으면 같은 언어족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한국어와의 유사점으로 제기된 특성들 역시 특이한 점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첫째로, 어순의 경우 라후어가 속한 티베트-버마어파 대부분의 언어가 SOV 구조를 가지고 있어

특별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음운론적 측면에서도, 파열음의 3대립이라는 특성은 기운에 따른 대립 외에 유무성 대립까지 포함해 총 3가지로,

한국어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또한 해당 언어족의 버마어도 이 대립을 가지고 있어 특이사항으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게다가 라후어는 한국어에 없는 마찰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구개수음 [q]와 [qʰ] 역시 가지고 있습니다.

 

4. 라후어에 대한 한글 수출 사기극

결국 2005년에 미디어오늘에서 2001년 당시 MBC 다큐 제작에 참여한 유리나씨의 기사를 통해 진실이 밝혀졌습니다.

라후족이 원래 문맹이었지만 선교사들의 로마자 교육을 거치면서 놀라운 속도로 한글을 익혔던 것은,

라후어 전용 한글이 모아쓰기가 아닌 모음과 자음을 분리하여 나열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가장 큰 원인은, 한글을 배우는 라후족에게 문자를 완전히 익히는 조건으로

지속적으로 금액을 지급했기 때문이었습니다.